카테고리 없음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가는 방법 총정리 🚌

쏘쏘스윗한1 2025. 9. 21. 15: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국으로 향하는 고속버스 노선의 핵심 거점,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센트럴시티 터미널)**로 가는 방법을 아주 자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흔히 **“강남 고속버스터미널”**이라고 불리며, 경부선·호남선·영동선 등 전국 주요 도시로 출발하는 버스들이 집결하는 곳입니다. 3·7·9호선 지하철이 교차하는 고속터미널역과 바로 연결되어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고, 신세계백화점, 센트럴시티, 반포한강공원 등 다양한 편의시설과도 인접해 있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지하철·버스·자가용·공항에서 오는 방법, 터미널 내부 구조와 주변 시설, 그리고 여행 시 유용한 팁까지 소개하겠습니다.


1.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기본 정보

  • 위치: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94 (센트럴시티)
  • 대표 노선: 경부선(부산, 대구, 대전), 호남선(광주, 전주, 목포), 영동선(강릉, 속초)
  • 연결 교통: 지하철 3·7·9호선 고속터미널역 직결
  • 특징: 전국으로 가는 고속버스 출발지 + 대형 쇼핑·문화 복합공간

 


 

2. 지하철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가는 방법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지하철 3호선·7호선·9호선 고속터미널역과 바로 연결됩니다.

🚇 3호선

  • 일산, 종로, 압구정, 교대 등에서 접근 편리.
  • 고속터미널역 3호선 승강장에서 바로 연결 가능.

🚇 7호선

  • 부천, 강북, 건대입구, 청담, 논현, 이수 방면 접근 가능.
  • 강남권 동서축 이동에 유리.

🚇 9호선

  • 김포공항, 여의도, 잠실 방면 직결.
  • 급행열차 이용 시 강서~강남 간 30분대 연결.

👉 지하철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접근 방법입니다.


 

3. 버스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가는 방법

터미널 앞 신반포로와 반포역 주변에 다양한 버스 노선이 정차합니다.

🚌 간선버스 (파란버스)

  • 143, 401, 405, 740
  • 서울역, 강북, 강동 방면 접근.

🚌 지선버스 (초록버스)

  • 서초 13, 서초 14, 서초 21
  • 서초구 내 생활권 이동에 편리.

🚌 광역버스 (빨간버스)

  • 분당, 용인, 수원, 성남 방면 직행 가능.
  • 9408, 9500, 9600 등 다수 노선.

🚌 공항버스

  • 인천공항 6000번, 김포공항 6020번
  • 터미널 앞에서 바로 탑승 가능.

4. 자가용으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가는 방법

🚗 주요 진입 경로

  • 강변북로/올림픽대로 → 한남대교 → 신반포로 진입.
  • 강남권에서는 반포대로, 서초대로 경유.

🚗 주차장

  • 센트럴시티 주차장(대형 규모, 유료).
  • 신세계백화점 주차장.
  • 단, 주말·연휴에는 혼잡하므로 대중교통 이용 추천.

 

5. 공항에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가는 방법

✈️ 인천공항

  • 공항버스 6000번 직행 (약 70분).
  • 공항철도 → 9호선 환승 → 고속터미널역 (약 80분).

✈️ 김포공항

  • 공항버스 6020번 직행 (약 50분).
  • 9호선 직행 (김포공항역 → 고속터미널역, 약 40분).

 

6. 주요 출발지 기준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가는 법

강남/잠실

  • 지하철 9호선 직행, 10~15분.

홍대/마포

  • 공항철도 홍대입구역 → 9호선 환승 → 고속터미널역 (약 40분).

종로/광화문

  • 3호선 경복궁역·안국역 → 고속터미널역 직행 (약 25분).

여의도

  • 9호선 여의도역 → 고속터미널역 (약 25분).

 

7.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내부 안내

  • 경부선 터미널: 부산, 대구, 대전 등 경부선 방면.
  • 호남선 터미널: 광주, 전주, 목포 등 호남선 방면.
  • 영동선 터미널: 강릉, 속초 등 강원권.
  • 매표소: 자동발매기 + 현장 매표소 운영.
  • 편의시설: 푸드코트, 카페, 약국, 편의점, 물품보관함.
  • 연계시설: 신세계백화점, 센트럴시티 몰, 메가박스 영화관.

 

8. 이용 팁 📝

  • 예매: 명절·주말에는 ‘고속버스모바일’, ‘버스타고’, ‘코버스’ 앱을 통한 사전 예매 필수.
  • 심야버스: 부산·대구 등 장거리 심야노선 다수.
  • 환불 규정: 출발 1시간 전까지 무료, 이후 수수료 발생.
  • 연계 관광: 반포한강공원, 고속터미널 지하상가, 강남역 쇼핑.

 

9. 마무리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단순한 버스 출발지가 아니라 대한민국 교통의 중심 허브입니다.
지하철 3·7·9호선과 직결되어 서울 어디서든 접근성이 뛰어나고, 전국 각지로 향하는 고속버스가 출발해 여행·출장·귀향길 어디든 이어집니다.

또한 대형 쇼핑몰과 문화시설이 함께 있어, 대기 시간도 지루하지 않은 복합 생활공간이죠.
서울에서 전국으로 떠나고 싶다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곳은 바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입니다 🚍✨

 

반응형